건물명도,임차보증금등

사건번호:

92다38065, 92다38072(반소)

선고일자:

199303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본소에서 변제공탁사실을 주장하고 공탁서를 증거로 제출하였으나 반소가 제기된 후 위 주장을 반소에 관한 항변으로 원용하거나 변제공탁의 항변을 한일이 없는 경우, 법원이 그 원용 여부를 석명할 의무가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원고가 반소제기 전의 변론기일에 진술된 준비서면에서 변제공탁사실을 주장하고 공탁서를 증거로 제출하였다면 반소가 제기된 후 위 주장을 반소에 관한 항변으로 원용하거나 반소에서 변제공탁의 항변을 한 일이 없다 할지라도 법원으로서는 석명권행사를 통하여 본소에서 한 변제공탁주장을 반소에 관한 항변으로 원용하는지 여부를 알아보고 이 점에 관하여 심리하여야 한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126조

참조판례

대법원 1967.9.26. 선고 67다1742 판결(집15③민161), 1980.6.24. 선고 80다692,693 판결(공1980,12960), 1990.6.26. 선고 90다카8005 판결(공1990,1577)

판례내용

【원고(반소피고), 상고인】 대림비치맨션운영위원회 【피고(반소원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부산고등법원 1992.7.15. 선고 91나14321,91나14338(반소)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반소에 관한 원고(반소피고) 패소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부산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원고(반소피고)의 나머지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기각 부분의 상고비용은 원고(반소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원고(반소피고)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1. 원심은 채택증거에 의하여 피고는 소외인에 대한 대여금채권의 담보를 확보하기 위하여 임대차계약서상의 임차인 명의를 피고로 표시하였을 뿐, 임대차계약의 실질적 임차인은 소외인으로서 피고가 위 임대차계약의 임차인으로서 소외인에게 전대한 것이 아니라고 인정하였는바, 이러한 사실인정은 정당하고 원고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위배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2. 원심은 원고가 1989.1.10. 피고를 공탁물 수령자로 하여 임차보증금 580만 원을 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 공탁공무원에게 변제공탁한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원고에 대하여 피고에게 임차보증금 580만 원과 그 지연손해금의 지급을 명하였다. 이는 원고의 변제공탁항변이 없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기록에 의하면, 원고는 반소가 제기되기 전인 제1심 제5차 변론기일에 진술된 1990.9.13.자 준비서면에서 위의 변제공탁한 사실을 주장하고 공탁서(갑 제3호증)를 증거로 제출하였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소가 제기된 후 위 주장을 반소에 관한 항변으로 원용하거나 반소에서 특별히 변제공탁항변을 한 일이 없음은 분명하다. 이와 같이 피고의 반소청구에 의하여 원고의 지급의무가 인정된 임차보증금 580만 원에 관하여 원고가 반소에 대한 변론으로서 변제공탁항변을 명백히 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본소의 변론으로서 위 금 580만 원의 변제공탁사실을 주장한 바 있고, 그 공탁서를 증거로 제출하였으므로, 원심으로서는 석명권행사를통하여 본소에서 한 변제공탁주장을 반소에 관한 항변으로 원용하는지 여부를 알아보고 이 점에 관하여 심리하였어야 마땅하다고 할 것이다( 당원 1967.9.26. 선고 67다1742 판결 참조).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 있다. 이상의 이유로 원심판결 중 반소에 관한 원고 패소부분을 파기하여 이 부분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고 원고의 나머지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며 상고기각부분의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영철(재판장) 박우동(주심) 김상원 박만호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임대차보증금, 누구에게 돌려줘야 할까요? 찜찜할 땐 공탁!

임대차보증금 반환 시, 양도금지특약에도 불구하고 채권양도가 발생하여 누구에게 반환해야 할지 불분명할 경우, 변제공탁을 통해 안전하게 보증금을 반환하고 법적 분쟁을 예방할 수 있다.

#임대차보증금#보증금 반환 채권 양도#양도금지특약#변제공탁

민사판례

전세권, 혼합공탁, 그리고 변제공탁의 효력에 대한 고찰

임차보증금 반환채권을 담보하기 위해 제3자 명의로 설정한 전세권은 유효하며, 채권양도와 압류가 겹칠 경우 채무자는 변제공탁, 집행공탁, 혼합공탁 중 선택할 수 있지만, 공탁의 종류는 공탁서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결정된다는 내용입니다.

#전세권#제3자 명의#혼합공탁#변제공탁

민사판례

밀린 월세와 얽힌 임차보증금, 누구에게 줘야 할까?

임차인의 임차보증금 반환채권에 여러 채권자가 압류, 추심 등을 통해 돈을 받아가려고 할 때, 집주인(제3채무자)은 돈을 법원에 공탁하여 면책될 수 있다. 특히, 전부명령이 있더라도 다른 채권자들의 권리관계가 복잡하면 집주인은 누구에게 돈을 줘야 할지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공탁을 통해 책임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판례.

#임차보증금#채권자#제3채무자#공탁

민사판례

세입자가 보증금 돌려달라고 소송했는데, 집주인이 소송비용도 내라고 하면 어떡하죠?

세입자가 월세를 연체해서 집주인이 세입자를 상대로 집을 돌려달라는 소송을 냈을 때, 소송비용을 보증금에서 뺄 수 있을까요? 네, 뺄 수 있습니다. 심지어 세입자가 다른 사람에게 보증금 반환채권을 양도했다고 하더라도, 집주인은 세입자가 집을 비워주기 전까지는 소송비용을 보증금에서 뺄 수 있습니다.

#임대차보증금#소송비용 공제#월세 연체#건물인도소송

민사판례

공탁금, 누구 맘대로 가져가나요?

돈을 법원에 맡기는 변제공탁은 공탁서에 피공탁자로 기재된 사람만 찾아갈 수 있습니다. 실제 채권자라도 공탁서에 이름이 없으면 직접 돈을 찾을 수 없고, 공탁서에 기재된 지분대로만 출급 가능합니다. 실제 지분 비율이 다르더라도 공탁서에 적힌 사람들끼리 해결해야 합니다.

#공탁금#출급#공탁서#피공탁자

민사판례

빚 갚았다고 생각했는데, 아직도 빚이 남았다고요? 공탁으로 깔끔하게 해결!

돈을 빌린 사람이 빌린 돈을 법원에 공탁했고, 돈을 빌려준 사람이 아무런 이의 제기 없이 그 돈을 찾아갔다면 빌린 돈은 모두 갚아진 것으로 본다는 판례입니다.

#공탁#채무소멸#변제공탁#수령